728x90
반응형

 원효의 일심이문(一心二門) 사상

 처음에 "일심법(一心法)에 의거하여 두 가지 문(門)이 있다."고 한 것은 '능가경'에서 "적멸(寂滅)이라는 것은 일심이라고 하고, 일심은 여래장(如來藏)이라고 한다."고 말한 것과 같다. 이 '대승기신론'에서 심진여문(心眞如門)이라고 한 것은 저 '능가경'의 "적멸이라는 것은 일심이라고 한다."고 한 것을 해석한 것이며, 심생멸문(心生滅門)이란 '능가경'의 "일심은 여래장이라고 한다."고 한 것을 해석한 것이다. 왜냐하면 일체법은 생성도 소멸도 없으며 본래 적막하고 고요하여 오직 일심뿐인데, 이러한 것을 심진여문이라고 하기 때문에 "적멸이라는 것은 일심이라고 한다."고 한 것이다.

 또 이 일심의 체가 본각(本覺)이지만 무명(無明)에 따라서 움직여 생멸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 생멸문에서 여래의 본성이 숨어 있어 나타나지 않는 것을 여래장이라고 이르는 것이다. 이는 '능가경'에서 말하기를 "여래장이란 선과 악의 원인으로서 일체의 취생(趣生)을 두루 잘 일으켜 만든다. 비유하자면 마술사가 여러 가지 부류를 변화시켜서 나타내는 것과 같다."고 한 것과 같다. 이러한 뜻이 생멸문에 있기 때문에 "일심은 여래장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이는 일심의 생멸문을 나타낸 것으로, 아래 글에서 "심생멸이란 여래장에 의하기 때문에 생멸심이 있으며"라고 하고, 이어 "이 식(識)에 두 가지 뜻이 있으니, 첫째는 각(覺)의 뜻이고 둘째는 불각(不覺)의 뜻이다."고 말한 것과 같다. 그러니 다만 생멸심만을 취해서 생멸문을 삼는 것이 아니라, 생멸 자체와 생멸상을 통틀어 취하여 모두 생멸문 안에 둔다는 뜻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두 문이 이러한데 어떻게 일심이 되는가? 염정(染淨)의 모든 법은 그 본성이 둘이 없어 진망(眞妄)의 이문(二門)이 다를 수 없기 때문에 '일(一)'이라고 하며, 이 둘은 없는 곳이 모든 법 중의 실체이므로 허공과 같지 아니하여서 본성이 스스로 신묘하게 이해하므로 '심(心)'이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이미 둘이 없는데 어떻게 일이 될 수 있는가? 일도 있는 바가 없는데 무엇을 심(心)이라고 말하는가? 이러한 도리는 말을 떠나고 생각을 끊은 것이니 무엇이라고 지목할지를 모르겠으나, 억지로 이름 붙여 일심(一心)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두 문이 서로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한 것은 두문이 각기 총괄하는 뜻을 해석한 것이다. 이것은 진여문은 염정의 통상(通相)이며 통상 밖에 별다른 염정이 없기 때문에 염정의 모든 법을 총섭할 수 있음과, 생멸문은 염정을 따로 나타내지만 염정의 법이 모두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또한 일체의 모든 법을 총섭함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통(通)과 별(別)이 다르기는 하지만 다 같이 부정할 것이 없기 때문에 "두 문이 서로 떠나지 않는다."고 말하였다.[대승기신론 소,별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천태불교, 혜사(惠思)의 '대승지관법문(大乘止觀法門)

 

 정신 집중(止)과 통찰(觀)의 방법

 지(止)란 현상계의 모든 법(法)이 본래부터 그 본성이 유(有)가 아니며, 생멸하지도 않음을 아는 것을 말한다. 만법은 허망한 인연으로 말미암는 것이기 때문에 유가 아니면서도 존재한다. 그러나 존재하는 저 법은 현상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실재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이 일심(一心)의 본체만이 분별이 없다. 이렇게 관찰하면 허망한 생각의 흐름을 머추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것은 '멈춘다(止)'라고 부른다.

 관(觀)이란 비록 현상계의 법은 애초에 발생하지 않아 지금 소멸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지만, 마음의 본성으로부터 조건적으로 발생하여 마치 환상이나 꿈이 유가 아니면서도 존재하는 것처럼 허망한 현상적 작용이 없을 수 없음을 통찰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을 '본다(觀)'라고 부른다.

 먼저 지와 관의 의지처를 밝혀 보인다는 것은 일심에 의거하여 지관을 수행함을 말한다.

 이 마음(一心)은 곧 그 고유한 본성이 맑고 깨끗한 마음(自性淸淨心)이다. 일심을 가리켜 '진실로 그러함(眞如)'이라고 부르고, 부처의 성품(佛性)이라고도 한다. 또한 법의 몸체(法身)라고도 하며, 여래의 창고(如來藏)라고도 한다. 그리고 법의 영역(法界)이라고도 부르고, 법의 본성(法性)이라고도 부른다.(大46,642a)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진 반가사유상/어린이문화재청 홈페이지]

 

 요즘 한국불교는 고즈넉한 산사에서 수련을 통해 심신을 치유하고 불교식 생활 등을 실제로 체험 할수 있는 이른바 '템플스테이'를 통해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습니다. 한국불교만의 독특한 사상 뿐만 아니라, 음식, 건축양식 등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고 도시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할 수도 있어 템플스테이를 체험한 사람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다고 합니다. 이렇듯 한국불교는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문화산업으로도 손색이 없을 만큼 전통문화재, 철학, 사상 등이 잘 전승되어 온 우리의 소중한 전통문화이자 대표적인 종교입니다. 이런 한국불교가 가지는 독특한 성격은 어떤 것이 있는지 한국불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불교는 불교의 연기관을 받아들인 한국인들이 발전시킨 특유의 성격을 가진 불교이다.

그런데 과연 인도 불교나 중국 불교와 변별되며 한국인의 특성이 그 속에 녹아들어 있는 한국 불교가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이에 대해 근대의 어떤 학자는 "인도와 서역의 불교는 서론적 불교이고, 중국의 불교는 각론적 불교이며, 조선의 불교가 최후의 결론적 불교이다." 라고 하였고, "인도의 원천적 불교, 중국의 분파적 불교에 대하여 한국은 원효, 보조에 의하여 최후의 회통 불교를 실현하였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중국, 일본과 다른 한국 불교의 특성은 일승(一乘)과 일미(一味)의 인식틀로 전개된다는 점, 즉 독창성과 더불어 종합성을 강조하는 측면에 있다고 본다. 이를 '통불교(通佛敎)'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예컨데 다른 나라 불교인들의 인식틀을 보면 자기 종파의 교설에만 충실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불교 사상가들은 불교를 받아들인 이래 어느 종파와 어느 학파에 얽매이지 않았다. 어느 종파, 어느 학파에 얽매이지 않았던 근거는 이들의 저술 목록에 잘 나타난다. 이들은 유식 불교를 신봉하면서도 천태가나 선가를 겸업했고, 또 그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불설에 입각한 융통성 위에서 자신의 학문적 화두를 밀고 나갔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즉, 인도나 중국, 일본 사상가들은 자기 종파의 교설에만 충실하고 있다. 그러한 점은 그들의 교상판석의 틀에서 잘 나타난다. 가장 대표적인 교판으로 알려진 법상종의 3시교판에서는 요의교로서 '해심밀경'을, 천태종의 5시8교에서는 법화 열산시를, 화엄종의 5교 10종판에서는 대승원교로서 법화보다 화엄을 우위에 두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이들 모두는 '가장 나중에 오는 장작이 제일 위에 오는' 것 처럼 교판을 통해 자기 종파의 우월성을 표현해 내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원효는 중국의 교판가들을 향해 "만일 한쪽에만 한결같이 그렇다고 집착하면 두 설을 다 잃을 것이요, 만일 상대를 인정해 주어 자기 설만 고집하지 않으면 두 설을 다 얻을 것이다."라고 갈파한 뒤, 5시 4종으로 판석하려는 견해를 '대롱으로 하늘을 쳐다보는 격'이라고 비판하고 회통의 자세를 취하였다.

 이에 대해 서양 학자들은 이러한 한국 불교의 특성인 통불교의 '통'이나 회통불교의 '회통'이 "당신들이 즐겨먹는 비빔밥을 말하는 것이 아닌가?" 라고 물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국 불교의 특징은 다양한 개체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된 비빔밥이 아니라 화학적으로 삼투된 곰탕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곰탕은 돼지나 소의 뼈와 살과 양념들이 모여서 무수한 시간 동안 끓는 물속에서 화학적 고투를 거쳐 우러나온 것이다. 이러한 일승과 일미의 인식틀 위에서 정립된 종합성과 독창성이 바로 한국 불교의 특징인 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훼손되기 직전의 모습을 담고 있는 사진들..

 

경복궁의 서쪽문인 영추문 붕괴사고 현장, 성벽 한쪽이 허물어져 있다.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1927년 조선총독부 건물이 들어서면서 이전되기 전의 모습.

 

창덕궁의 원래 위치인 보루각에 있을당시의 물시계 모습(하단부)

 

창덕궁의 원래 위치인 보루각에 있을당시의 물시계 모습(상단부)

 

1929년 건춘문 일대로 옮겨진 광화문에서 바라본 경복궁 동쪽 전경과 건춘문, 동십자각의 모습, 왼쪽 중학천의 모습과 반대편에 빽빽히 들어선 민가들이 보인다.

 

1935년 경복궁 건천궁 터에서 조선총독부 박물관을 짓기 전 지진제를 지내는 모습, 일본의 전통 신도의 절차에 따라 제를 지내고 우가키 가즈시게 총독이 제를 올리고 있다.

 

1922년 일본 도쿄에서 살던 영친왕(이은)과 영친왕비(이방자) 일행이 일시귀국해 희정당으로 들어서는 모습

 

맨앞이 순정효황후,영친왕(이은)과 영친왕비(이방자)가 차례로 창덕궁 후원을 거닐고 있다.

 

경복궁의 자경전에 새겨진 꽃문양

 

일시 귀국한 영친왕 일행이 동경으로 다시 돌아가기전 창덕궁 인정전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복궁 근정전 주변의 모습, 지금과는 달리 전각들이 빽빽히 들어차 있다. 

 

경복궁 자경전의 모습,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1867년 조대비를 위해 지은 전각 이후 두차례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고종15년(1888년) 재건되었다.

 

창덕궁 인정전 앞모습, 일제에 의해 박석들이 파헤쳐지고 있다. 대한제국 문무고관들이 황제에게 하례를 하던 상징적인 공간이 일제에 파괴되고 있다.

 

지금도 경복궁이건 창덕궁이건 조선의 궁궐을 방문을 해보면 원래의 모습과 많은 차이가 있다. 이전 사진들에서 보듯 빽빽히 들어찬 전각의 모습들은 이제 그 터만 남긴채 빈터로 남아있다. 치욕의 역사인 일제강점기 상징적인 국가의 중심 공간이던 궁궐은 그 수난을 피해가지 못한채 뜯기고 헐리고 원형에 비해 너무나 초라한 모습으로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조금이나마 복원이 진행되었고, 또 진행계획이 일정부분 잡혀있다는 것이다. 비록 예전 원래의 모습을 100% 되찾기는 사실상 불가능 하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원형에 가깝게 복원이 되면 웅장하고 자랑스럽던 옛 궁궐의 모습을 다시 볼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니 복원이 끝나는 그날이 기다려진다.

복원 작업이 잘 진행돼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유산으로 남게되길 기대해 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요금 KBS 드라마 '정도전'이 인기리에 방영이 되고 있습니다.

'정도전'을 보고 있노라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너무나 유명한 인물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던 최영 장군, 조선의 태조가 되는 이성계 장군,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삼봉 정도전 등..

이런 인물들 중에 단연 포은 정몽주 선생의 고려를 향한 충심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포은선생의 충심은 조선의 3대 국왕이 되는 태종 이방원의 '하여가'에 대한 답으로 지었다는 '단심가'로 대표되며,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백골이 진토되어..라고 시작하는 시구는 우리들의 뇌리 속에 아주 강하게 남아 있어 이번 '정도전' 이라는 드라마에서 포은 선생의 고려를 향한 충심은 어떻게 그려질지 사뭇 궁금하게 만듭니다.

 

아래는 영천시에 위치하고 있는 포은 정몽주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임고서원 입니다.

임고 서원에 가면 포은정몽주 선생과 관련된 유품 유물들도 함께 만나볼 수 있고, 옛서원의 모습과 새로 지어진 서원의 모습이 조화롭게 배치 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상세정보(영천시 문화관광)

포은 정몽주 임고서원은 고려말의 충신은 포은 정몽주(鄭夢周)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명종8년(1553) 부래산(浮來山)에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36(1603)에 중건되었다.
인조 21년(1643) 여헌 장현광(張顯光)선생을 배향하고 정조11년(1787)에는 지봉 황보 인 선생을 추향하였으나 고종 8년(1871)서원 철폐령으로 췌철되었다. 1965년 복원하여 포은 선생만 봉향하고 있으며 1980년 보수·정화되었다. 또한 1990년부터 성역화 사업을 추진하여 기존의 서원 옆에 새로이 서원을 세워 웅장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
현재는 옛서원과 새로 지은 서원이 공존하고 있다. 포은 정몽주선생은 고려충숙왕 복위6년1337)현 임고면 우항리에서 일성부원군 운관의 아들로 태어나 공민왕 9년(1360) 문과에 장원, 예문검열 등을 거쳐 성균대사성, 전법, 판도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조전원수(助戰元帥)가 되어 왜구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대명국교(對明國交)에도 큰공을 세웠다.

고려 삼은의 한사람으로 기울어져 가는 고려의 국은을 바로 잡고자 노력하였으나 공양4년(1392)이방원의 문객 조영규등에게 선죽교에서 피살되었다. 이후 조선태종 원년(1401)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익양부원군(益陽府院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주변볼거리

경주김씨지사공종택, 선원동철불좌상, 환구세덕사

 

 

 

 

[사진출처:브로드몰 커뮤니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관풍루]

[아직까지 원형이 잘 남아있는 1.3km의 토성 둘레] 

[달성공원 입구]


평지의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쌓은 삼국시대의 성곽이다. 높이는 일정치 않으나 4m정도이며, 둘레는 약 1,300m이다.

성벽의 아랫부분에서 초기철기시대의 조개더미와 각종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 지방의 중심세력이 성장하여 초기적 국가 형태를 이루면서 쌓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경주의 월성처럼 평지에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쌓은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달성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초기 성곽의 전형으로 평가되고 있다.

성벽은 주로 흙으로 쌓았고, 성벽 윗부분에는 큰 돌덩어리들이 군데군데 드러나 있어 후대에 수리한 것으로 보인다. 성안에는 조선시대 전기까지 군대의 창고가 있었고, 우물과 연못이 있었다고 한다. 성의 서남쪽으로 연결된 구릉지대에는 돌방무덤(석실분)이 많이 흩어져 있고, 무덤에서 금동관을 비롯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대구 달성은 우리나라 성곽 발달사에 있어 가장 이른 시기의 형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만월대 복원모형]

[만월대 복원모형]

[현재 남아있는 돌계단]

[궁성터 발굴]

[궁성터 발굴]

[출토유물]

[출토유물]

7-8월 남북한이 공동 발굴조사하는 개성 만월대는 송악산(松嶽山) 남쪽 기슭에 자리한 고려시대 궁궐터다.

고려 태조 왕건은 재위 2년째인 서기 919년 정월에 개성에다 도읍을 정하고 만월대 자리에 궁궐을 창건했다. 이후 만월대는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 침입으로 소실될 때까지 역대 고려왕이 상시 거주하면서 정무를 보던 정궁(正宮)이었다.

동서 445m, 남북 150m의 장방형 대지를 차지한 만월대에서 정전(正殿)은 회경전(會慶殿)이라 일컬었다. 조선 광해군 때 편찬된 조선 팔도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건덕전(乾德殿)을 정전이라고 했으나, 12세기초에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된 중국 송나라 사신 서긍이 남긴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정전은 회경전이라 했다.

나아가 고려사 희종 2년 4월 조에 수록된 기사에서도 정전을 회경전이라고 했다.

경복궁의 근정전에 해당하는 회경전은 정면 9칸, 측면 4칸이며 전면에 4개 계단을 만들고 그 좌우에는 동행각(東行閣)과 서행각(西行閣)이라는 부속 건물을 배치했다.

회경전 북쪽에는 고려왕실 보물창고인 장화전(長和殿)과 비상시에 왕이 대신들과 정사를 논의하던 원덕전(元德殿)이란 건물이 있었다. 또 서북쪽에는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건덕전, 후궁들이 거처하던 침전인 만령전(萬齡殿)이 있었다.

회경전과 건덕전 사이에는 사신 등이 바치는 물품을 받는 장령전(長齡殿)이 있었고, 나중에 집현전(集賢殿)이라는 이름으로 바뀌는 연영전(延英殿)도 있었다. 회경전 서쪽 인접 지점에는 왕을 위한 침전이 자리잡았고, 동쪽에는 세자가 거처하던 좌춘궁(左春宮)이 있었다.

정궁에는 13개 성문과 15개 궁문이 있었다고 기록에 보인다. 성문 중 동문인 광화문(廣化門)이, 궁문으로는 왕궁의 정남문인 승평문(昇平門)과 신봉문(神鳳門), 창합문(嗽闔門), 의봉문(儀鳳門)이 유명하다.

승평문은 정전인 회경전으로 연결되는데 이 문을 들어서면 신봉문이 있었고 그 동쪽에 세자궁으로 들어가는 춘덕문(春德門)이, 서쪽에 왕의 침전으로 들어가는 태초문(太初門)이 있었다.

신봉문 안에는 왕이 중국 천자의 조서를 받들던 창합문이 있었고, 그 안에 다시 회경전으로 통하는 전문(殿門. 혹은 회경문<會慶門>)이 있었다.

건덕전 앞에는 건덕전문과 흥례문(興禮門), 의봉문이 있었으며, 의봉문 바깥에는 격구 경기를 하던 운동장인 구정(毬庭)이 있었다고 한다.

중앙 회경전 터를 기준으로 동벽까지는 135m, 서벽까지는 230m, 승평문까지는 250m 정도이다.

출처:http://blog.yonhapnews.co.kr/ts1406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그릇에서 현저히 차이가 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