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이 행하는 모든 일에서도 되도록
너 자신에게 물어보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라.
"이 사람이 무엇을 노리고 이런 일을 하는 걸까?"
그러나 너 자신으로부터 시작하고
너 자신부터 먼저 심문하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남이 행하는 모든 일에서도 되도록
너 자신에게 물어보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라.
"이 사람이 무엇을 노리고 이런 일을 하는 걸까?"
그러나 너 자신으로부터 시작하고
너 자신부터 먼저 심문하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도움을 받는 것을 부끄러워 마라.
너는 성벽을 공격하는 전사처럼
맡은 바 임무를 완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네가 절름발이여서
혼자서는 성벽을 기어오를 수 없지만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을 경우
기어오를 수 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우리는 행복이 품성 상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행복을 일종의 활동으로 규정해야 한다면
행복은 분명 그 자체로 선택되는 활동들의 하나로 놓여야 하며,
다른 것 때문에 선택되는 활동의 하나로 놓여서는 안 된다.
행복은 그 어떤 것도 부족한 것이 없이 자족적이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스 윤리학'
개인의 행위 중에서
사회에 책임을 가져야 할 유일한 부분은
타인과 연계되어 있는 부분이다.
단순히 자신에게만 연관된 부분에 한해서,
개인의 독립성은 당연히 절대적이다.
개인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즉 자신의 육체와 정신에 대해서 주권자이다.
-밀 '자유론' 中
살아있는 육체는 더욱 아름다우며
관념에 의해 괴로움을 당하고
행동에 의해 생기를 얻는다.
그러나 이것은 마음대로 되는 것은 아니다.
참된 사회는 까다로운 논리 외에
극복해야 할 것이 또 있다.
사상을 아름답게 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곤경이다.
-알랭
눈을 떳을 때
오늘 단 한 사람에게라도 좋으니
그가 기뻐할 만한 무슨 일을 할 수 없을까를 생각하라.
-니체
한편에서 모든 쾌락의 양을
다른 한편에서 모든 고통의 양을 합산한다.
만약 그 차이가 쾌락 쪽이 많다면
그 개인의 이익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그 행위가
보다 좋은 경향을 가질 것이며,
그 차이가 고통 쪽이 많다면
그것은 전체적으로 그 행위가
나쁜 경향을 가질 것이다.
-벤담
"시간이 없다"
이 말은 확실히 정식으로 정해져 있지 않은
의무나 일을 하고 싶지 않을 때
사람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는
편리한 구실일 뿐만 아니라,
사실 지극히 타당하고
그럴듯하게 들리는 변명이 된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한 가지 구실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닐까.
-힐티
슬픔이라 불리는 고통의 양은
실제상 외부적인 표적에 의해서는
거의 측정할 수 없다.
그것은 이를테면 눈물의 양이나
흐느껴 우는 시간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결 명백한 표적은 맥박일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얼굴 근육은 지배할 수 있어도
자기 심장을 지배할 수는 없다.
-벤담
인간의 일생이란 가장 행복한 경우라도
그저 견딜 만한 정도의 불행과
비교적 가벼운 고통 속에 사는 것뿐이며,
걸핏하면 권태라는 고통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
그리고 다음에 하는 일은
인간을 낳아 개체 수를 늘리며
판에 박힌 생활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가난은 하류층의 끊임없는 채찍이며
권태는 상류층의 채찍이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일요일은 권태를,
나머지 6일은 가난을 나타낸다.
-쇼펜하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