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보물 1581호 대동여지도 목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581호 대동여지도 목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581호 대동여지도 목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581호 대동여지도 목판/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581호 '대동여지도' 목판은 12매가 현존하고 있다.(국립중앙박물관 11매, 숭실대학교 1매) 대동여지도를 간행할 당시에 목판은 총 60매 정도가 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현존하는 12점은 그것의 1/5 정도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12점 중 국립중앙 박물관이 소장한 11점의 목판은 1923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최한웅(崔漢雄)에게서 사들인 것이며, 숭실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목판 1점은 김양선(金良善, 1907-1970)이 수집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동여지도' 목판은 김정호(金正浩, ?-1866)가 1861년(철종 12년)에 새겨 만든 것으로 처음 제작 후 여러번에 걸쳐 수정을 거친 것이다. 대동여지도 목판에서도 당시 고쳐 수정한 흔적들을 여러 부분 찾아볼 수 있는데, 고친 흔적의 대표적인 예로 함경도 장진의 십만령 부근 경계, 경상도 초계의 삼학진, 경상도 성주의 안언역 등이 있다.

대동여지도 목판은 피나무를 사용했으며, 숭실대에서 소장하고 있는 1매의 목판과도 재질이 같다.

대동여지도는 각종 지명, 산줄기, 하천, 관방, 역원, 봉수 등의 다양한 지리적 요소들을 기호를 통해 표시하고 있는데 판각의 기법 또한 매우 정교하다.


그런데, 김정호가 조선 역사상 최고의 지도를 만드는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당시 무능한 권력에 의해 국가기밀 누설이라는 죄를 받아 허무하게 희생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이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발행한 '조선어독본'에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자 흥선대원군이 그를 국가 기밀누설죄로 감옥에 가두고 지도의 판목은 모두 압수하여 불태웠다고 쓰여 있는 것을 바탕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김정호의 옥사설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고, 실제로 여러 개의 목판이 남아 있는데, 이들 목판에는 이후에 수정했던 흔적도 남아 있어, 지도상 오류를 고치고 다듬어 보다 나은 지도를 제작하고자 했던 김정호의 열정을 엿볼 수 있다.


1장 크기 가로 32cm X 세로43cm X 두께 1.5cm




[보물 850-3호 대동여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66호 '백자 철화 매화 대나무 무늬 항아리'는 '백자철화매죽문호(白磁鐵畫梅竹文壺)'라고도 하며, 높이 41.3cm, 입지름 37.9cm의 크기로 품격있고 장중한 형태와 뛰어난 그림으로 널리 알려진 16세기 조선시대 대표적인 철화 백자이다.

도자기에 표현된 문양은 문양이라기 보다는 한폭의 그림으로 감상해도 손색이 없을만큼 이 작품을 통해 16세기 화단의 사군자 기법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몸체에는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사실적인 필치로 묘사하였는데, 대나무는 몰골법(沒骨法)-윤곽선을 나타내지 않고 색채나 수묵을 사용해 형태를 그려내는 화법. 을 사용해 농담을 살려 그렸으며, 가늘고 곧게 뻗어있는 대나무 잎과 휘어짐 없이 사방으로 벌어진 줄기를 통해 대나무의 강한 절개와 고결한 기상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반대편에 있는 매화나무는 둥글게 휘어 올라가는 등걸과 위로 곧게 치솟은 잔가지의 대조적인 표현이 서정적이고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세련되고 우아한 필치로 미루어 궁중 화원의 솜씨가 분명해 보이며, 왕실용 자기 제조를 담당하는 관청인 사옹원 소속 관리가 매년 도화서(圖畫署)-조선시대 그림 그리는 일을 담당했던 관청. 의 화원을 인솔하고 관요(官窯)-왕실용 도자기를 구워내기 위해 정부에서 직영으로 관리했던 가마. 에 나가 도자기의 그름을 그리게 했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7호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7호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7호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7호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7호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7호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은 '청자음각연화당초문매병(靑磁陰刻蓮花唐草文梅甁)'이라고도 하며, 12세기 고려시대 청자이다.

높이 43.9cm, 입지름 7.2cm, 바닥지름 15.8cm의 크기로 연꽃무늬를 감싸고 있는 넝쿨무늬의 윤관석은 조각칼을 뉘여서 음각하였기 때문에 반양각(半陽刻)기법-문양의 윤곽을 가늘게 음각한 후, 외곽 부분을 깎아내어 양각처럼 보이게 하는 조각 기법. 으로 처리를 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반양각 기법은 12세기 고려청자의 특징적인 형태로써, 고려청자에 사용된 음각기법은 초기에는 가늘고 예리한 음각 무늬지만,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 중엽이 되면 이와 같이 선이 굵어지고 반양각된 것처럼 처리하는 특징을 보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114호, 청자 상감 모란 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114호, 청자 상감 모란 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114호, 청자 상감 모란 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114호, 청자 상감 모란 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4호 '청자 상감 모란 국화 무늬 참외 모양 병'은 '청자상감모란국화문과형병' 이라고도 하며, 12세기 후반~13세기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 청자이다.

높이 25,6cm, 입지름 9.3cm의 크기로 참외 모양의 몸체를 한 것이 고려 인종의 장을에서 출토되었다고 하는 참외 모양 병과 유사하지만, 선의 흐름이나 단아한 맛은 조금 줄어든 듯한 느낌을 준다.

참외 모양 몸체에서 세로로 만든 골은 총 8개로, 각면에 국화와 모란꽃을 한 줄기씩 교대로 흑백으로 상감하였다.

참외 모양의 몸체 아래에는 역상감 기법(그려진 문양이나 무늬를 상감처리 하는 것과 반대로 배경 부분을 상감으로 메워 무늬가 청자색을 띄도록 하는 상감기법)의 연꽃잎 무늬 연판문(蓮瓣文) 띠를 돌렸으며, 어깨에는 여의두 무늬([如意頭文, 전자(篆字)의 心(심)자를 나타내는 고사리모양의 장식문양) 띠를 두른 것이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16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6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6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6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6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6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6호인 '청자 상감 모란 넝쿨 무늬 조롱박 모양 주전자'는'청자상감모란당초문표형주자(靑磁 象嵌 牡丹唐草文 瓢形 注子)'라고도 하며, 12세기 고려시대 작품이다.

크기는 높이 34.3cm, 입지름 2cm, 바닥지름 9.7cm이다.

고려청자 가운데 조롱박 모양의 주전자가 많은데, 이러한 형태는 중국의 당과 송의 도자기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것이지만 고려만의 산뜻한 조형미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몸통 부분에 모란 넝쿨 문양이 도안화(패턴)된 것 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에 가까운 모란 문늬를 역상감(逆象嵌) 기법으로 표현했다.


※역상감이란 문양이나 무늬를 상감처리 하는 것과 반대로 배경 부분을 상감으로 메워 무늬가 청자색을 띄도록 하는 상감기법을 말한다.


모란 꽃잎과 잎사귀에 가는 음각선을 사용해 꽃맥과 잎맥을 표현했고, 몸체 윗부분에는 운학문(雲鶴文)-구름과 학의 모양을 표현. 을 상감처리 했고, 입 둘레는 뇌문(雷文)-선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한 무늬. 띠와 연판문(蓮瓣文)-끝을 각지고 뾰족한 모양으로 표현한 연꽃잎 무늬. 띠를 둘렀다.

또, 물을 붓는 귀때부리의 배와 밑둘레는 무늬를 도드라지게 찍는 퇴화(堆花)-도자기 표면에 물감을 두껍게 올려 무늬를 표현하는 것. 기법으로 흰 점을 만들어 넣었으며, 유조는 빙렬(氷裂)-얼음에 금이 갈라진 것 처럼 생긴 얇은 금. 이 없는 회청색계의 비색이며 광택이 은은한 것이 특징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백자 철화 끈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철화 끈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철화 끈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철화 끈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백자 철화 끈무늬 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0호 '백자 철화 끈무늬 병'은 조선 전기 백자 병이 가진 특색인 풍만한 양감과 곡선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잘록한 목에서 시작해 아래로 내려올 수록 볼록한 형태를 그리는 곡선미와 마치 한가닥의 끈을 묶어 늘어뜨려 놓은 듯 거침없는 굵은 선으로 표현되어 있는 끈무늬는 철화 안료를 사용한 것이다.

백자 특유의 여백과 단순하면서도 과감하고 절제된 표현과 구성은 도자기 공예의 차원을 넘어 세련된 예술의 경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말설임 없이 사성 방향으로 힘차게 그어 내린 끈무늬는 단순하지만 백자 전면에 걸쳐 강한 인상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굽 안 바닥에는 철화 안료로 '니나히'라는 한글이 씌어져 있는데, 뜻은 명확하지 않지만 이를 통해 '백자 철화 끈무늬 병'이 한글 창제를 전후한 작품으로 추측할 수 있다.


높이 31.4cm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국립중앙박물관]


[국보 92호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정병은 대체로 몸체가 계란형으로 매끈하게 빠진 긴 목 위로 뚜껑 형태의 둥근 테가 놓인다. 그 위로 다시 대롱형의 물을 빼는 첨대(尖臺)가 솟아 있으며, 몸체 한쪽에는 중간을 잘록하게 좁힌 귀때가 붙어 있다.

'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은 무늬로 물가 풍경을 넣었는데, 길게 늘어진 버드나무와 노를 저어가는 어부와 낚시꾼 등 잘 표현되어 있으며, 모든 그림은 홈을 파 은선을 두드려 넣은 은입사 기법이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청동의 색과 은입사로 표현된 무늬가 묘한 분위기를 자랑하고 있다.


정병(淨甁)은 인도에서 에서 승려가 먼길을 떠날 때 메고 다니던 물을 담은 물병에서 유래되었으며, 훗날 승려가 가지고 다니는 필수품의 하나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다 차츰 부처님 자비의 상징으로 변화되었는데, 바로 정병 속에 들어있는 물을 통해 중생들의 목마름과 고통을 덜어준다고 하는 상징적 의미의 공양구의 용도로 인식하게 되었다.

정병을 만드는 재료는 주로 청동과 도자기가 사용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을 숭상하던 고려시대에 특히 많이 제작되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국보 115호 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5호 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5호 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5호 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5호 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국립중앙박물관]



국보 115호 '청자 상감 국화 넝쿨 무늬 완'은 높이 6.2cm 입지름 16.8cm로 12세기 고려시대 유물이다.

1159년(의종, 毅宗 13)에 죽은 병부상서 등을 지낸 문공유(文公裕, ?~1159)의 무덤에서 묘지와 함께 출토된 유물로 제작 연대를 짐작할 수 있는 상감청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유물이며,

상감기법의 발전 과정을 알 수 있는 편년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접의 안쪽 바닥 가운데에 국화꽃잎을 백상감하고 안쪽 면 전체를 넝쿨 무늬로 역상감하였으며 입구 둘레에도 넝쿨 무늬 띠를 장식하였다. 굽 안 바닥에는 규석 흔적이 남아 있는데, 유약과 태토가 정성된 12세기 전반 청자에 비하면 빙렬(氷裂:얼음이 금가고 갈라진 모양)도 있고 유약도 두꺼웠지만, 상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투명한 유약을 추구해 가는 노력을 확인할 수 청자 유물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1168호 청자상감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1168호 청자상감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1168호 청자상감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1168호 청자상감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국립중앙박물관]


[보물1168호 청자상감매화대나무학무늬매병/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상감 매화 대나무 학 무늬 매병'은 보물 1168호로써 높이 33cm, 입지름 5.2cm, 바닥지름 11.7cm의 크기로 12세기 후반~13세기 고려시대 유물이다.

전체적인 모습으로는 입구 아래에서 풍만한 어깨선이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자연스러운 곡선미를 자랑하는 전형적인 고려청자 매병이다.

몸체에는 양쪽 면에 대나무와 매화나무가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는데, 대나무는 마치 바람에 날리는 듯 한쪽 방향으로 뻗어있고, 매화나무의 가지는 양 갈래로 뻗어 있어 그림의 전체적인 구도에 균형 역할을 하고 있다. 대나무와 매화나무의 주변에는 학이 날아 오르는 모습과 아래로 내려오는 모습 그리고 땅위에서 학이 깃털을 손질하는 그 특유의 모습이 실감나게 표현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넓은 공간감과 짜임새 있는 구도가 돋보이는 표현이 희화적이면서 귀족적인 아취가 함축되어 있는 작품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보물 1061호 백자 철화 풀 무늬 각배/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061호 '백자 철화 풀 무늬 각배'는 15세기 조선 백자로 소뿔 모양을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도자기 입 부분은 안쪽으로 밀린 듯이 처리했으며, 뿔의 뾰족한 끝 부분에서 시작한 풀 모양의 무늬는 전체 길이 1/3 정도만 들어가 있다.

황색을 띠는 회백색의 유약은 다소 두터우며, 불투명한 느낌을 주는데, 이러한 뿔 모양의 도자기는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 이후 소량 제작되었으며, 특히 백자로 만든 것은 매우 희귀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